‘십이지신’ 한지등 제작

십이지신은 땅을 지키는 12신장으로, 십이신장, 십이신왕으로 불린다. 이들은 12방위에 맞추어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소, 원숭이, 닭, 돼지, 개, 쥐, 양 등의 얼굴 모습을 가졌으며 몸은 사람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도교의 방위신앙에서 강한 영향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 삼국통일전에는 단순히 탑에 사천왕과 십이지신상 등을 부조하는 기법이 성행했다.   재미있는 등이야기 “십이지신” 십이지신 이야기 왜 고양이란 동물은 십이지신에…

‘세종대왕’ 한지등 제작

세종대왕은 조선의 제4대왕으로 이름은 도이고, 자는 원정이며, 시호는 장헌이다. 1418년에 왕세자에 책봉되고, 그 해 8월에 22세의 나이로 태종의 왕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집현전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였고, 유교 정치의 기반이 되는 의례, 제도를 정비하고 다양하고 방대한 편찬 사업을 이루었다. 또 훈민정음의 창제, 농업과 과학기술의 발전, 의약 기술과 음악 및 법제의 정리, 공법의 제정, 국토의 확장 등 수많은…

‘이순신과 거북선’ 한지등 제작

충무공 이순신 장군은 임진왜란 때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인 나라를 구한 시대의 영웅이다. 임진왜란은 조선과 명나라가 연합해 침략국인 일본을 패퇴시킨 국제 전쟁이었다. 조선 중기인 선조 25년에 두 차례에 걸쳐 일본이 조선을 침략했는데, 임진년에 처음 발발했다고 해서 임진왜란이라고 한다. 이순신 장군은 직접 지휘한 전투에서 모두 승리했는데, 이는 세계 해전사에 유례없는 전승 기록이다. 이순신 장군의 전술은 미국, 영국,…

‘종묘제례 문무’ 한지등 제작

문무는 문묘제례나 종묘제례 때 추는 춤으로 일무의 한 종류이다. 고인의 문덕을 송축하는 뜻으로 춥니다. 무공을 찬미하는 뜻인 무무와 대응하며 문묘,종묘 제순의 영신, 전폐, 초헌 때 춥니다.   재미있는 등이야기 “종묘제례 문무” 전통 이야기 종묘대제, 일무의 한 종류로 무구로는 왼손에 약(황죽으로 만든 구멍이 셋인 악기)을, 오른손에는 적(나무에 꿩털로 장식한 무구)을 든다. 춤사위는 음악이 시작되면 오른발을 들며 양팔을…

‘백제의 관제와 복식’ 한지등

백제는 기원전 18년에 온조왕이 세운 나라이다. 한강유역의 좋은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나라의 기틀을 마련해 발전했으며, 근초고왕때 전성기를 이루었다. 세련되고 우아한 문화를 발달시켰으나 660년에 신라와 당의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였다. 백제는 주몽의 아들인 온조가 남쪽으로 내려와 한강 유역의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이름을 ‘십제’라고 했지만, 형인 비류가 죽고 그의 세력이 합쳐지자 백성이 즐겁게 따랐다는 뜻으로 이름을 ‘백제’라고 고쳤다.  …

‘조선왕조의궤’ 한지등 제작

조선의 주요 행사를 사진 찍듯이 기록한 조선왕조 의궤로 조선의 왕실은 결혼식이나 장례식, 회갑연과 같은 각종 연회 및 외국에서 사절단이 와서 영접을 할 경우에는 반드시 행사 내용을 글과 그림으로 된 책자로 남겼다고 합니다. 이 책자를 바로 의궤라고 합니다.   재미있는 등이야기 “조선왕조의궤” 전통 이야기 의궤를 만든 이유는 후대에 동일한 행사를 치를 때 참고하기 위해서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의궤에는…